치클론 3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치클론 3호는 세계 최대 ICBM인 SS-18 사탄 ICBM을 인공위성 발사체로 개조한 것이다. 1977년부터 2009년까지 총 122회 발사되었으며, 치클론 2호에서 약간 개량되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서 개발했으며, 200톤의 무게와 3단 로켓으로 구성된다. 치클론 3호의 파생형으로 치클론 4호와 치클론 4M이 개발되었으며, 2013년 에콰도르 위성 NEE-01 페가소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9년 우주 개발 - 미노타우르 IV
미노타우르 IV는 피스키퍼 미사일을 기반으로 개발된 4단 고체 연료 로켓으로, 소형 위성 발사 및 준궤도 비행 시험 등에 사용되며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한다. - 2009년 우주 개발 - 광역적외선탐사위성
광역적외선탐사위성은 NASA에서 발사한 우주 망원경으로, 적외선으로 전 하늘을 탐사하며 소행성, 혜성, 갈색 왜성 등 다양한 천체를 발견하고 근지구 천체 탐색에 기여했으며, NEOWISE 임무 변경 및 재가동 후 2024년 대기권에 진입하여 소멸되었다. - 우주발사체 - 팰컨 1
스페이스X에서 개발한 팰컨 1은 민간 자금으로 개발된 액체 추진 방식의 소형 궤도 발사체로, 여러 번의 시도 끝에 세계 최초로 민간 액체 추진 로켓으로서 궤도 진입과 상업 위성 발사에 성공했으나, 사업성 부족으로 운용이 중단되었다. - 우주발사체 - 델타 IV
델타 IV는 미국 공군의 EELV 프로그램에 따라 개발된 델타 로켓 계열의 발사체로, 액체 수소 연료와 RS-68 엔진을 사용하며 다양한 버전으로 운용되다가 높은 비용과 수요 부족으로 인해 단계적으로 폐지되었고, 벌컨 켄타우루스가 이를 대체할 예정이다.
| 치클론 3호 | |
|---|---|
| 개요 | |
![]() | |
| 기능 | 운반 로켓 |
| 제조사 | 유즈마쉬 |
| 원산지 | 소비에트 연방 |
| 높이 | 39.27 미터 |
| 직경 | 3 미터 |
| 질량 | 189,000 킬로그램 |
| 단수 | 3단 |
| 성능 | |
| 지구 저궤도 (LEO) 수송 능력 | 4,100 킬로그램 |
| 기술 정보 | |
| 계열 | R-36, 치클론 |
| 비교 대상 | 델타 II |
| 파생형 | 치클론-4, Cyclone-4M |
| 운용 정보 | |
| 상태 | 퇴역 |
| 발사장 |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 LC-32 |
| 총 발사 횟수 | 122회 |
| 성공 횟수 | 114회 |
| 실패 횟수 | 8회 |
| 최초 발사 | 1977년 6월 24일 |
| 마지막 발사 | 2009년 1월 30일 |
| 탑재체 | Tselina Meteor Okean Geo-IK Strela |
| 1단 정보 | |
| 명칭 | 11K69 |
| 엔진 | 1 x RD-261 모듈 (3 x RD-250PM 엔진) |
| 추력 | 3,032 kN |
| 비추력 | 301초 |
| 연소 시간 | 120초 |
| 연료 | 사산화 이질소(N2O4) / UDMH |
| 2단 정보 | |
| 명칭 | 11S692 |
| 엔진 | 1 x RD-262 |
| 추력 | 941 kN |
| 비추력 | 318초 |
| 연소 시간 | 160초 |
| 연료 | 사산화 이질소(N2O4) / UDMH |
| 3단 정보 | |
| 명칭 | 11S693 |
| 엔진 | 1 x RD-861 |
| 추력 | 78.7 kN |
| 비추력 | 317초 |
| 연소 시간 | 125초 |
| 연료 | 사산화 이질소(N2O4) / UDMH |
2. 역사
치클론 3호는 세계 최대 ICBM인 SS-18 사탄(R-36)을 기반으로 개발된 인공위성 발사체로, 치클론 2호를 일부 개량한 모델이다. 1977년 6월 24일 첫 비행을 시작하여[1], 2009년 1월 30일 마지막 발사까지 총 122회의 발사 기록을 남기고 퇴역했다.[1][3] 퇴역 배경에는 러시아의 신형 앙가라 로켓 선호 및 유독성 초고속 추진제 사용 문제 등이 있다.[3]
치클론 계열 로켓은 다음과 같다.
| 로켓 | 개발국 | 무게 | 1단 추력 | 2단 추력 | 3단 추력 | 운용 기간 | 발사 횟수 |
|---|---|---|---|---|---|---|---|
| 치클론 1호 | 소련 | 182ton | 260ton | 100ton | - | 1967년–1969년 | 8회 |
| 치클론 2호 | 러시아, 우크라이나 | 182ton | 260ton | 100ton | 8ton | 1969년–2006년 | 106회 |
| 치클론 3호 | 러시아, 우크라이나 | 200ton | 300ton | 100ton | 8ton | 1977년–2009년 | 122회 |
| 치클론 4호 | 브라질 | 200ton | 300ton | 100ton | 8ton | 2006년 (취소) | - |
| 치클론-4M | 캐나다 | 274ton | 320ton | 8ton | - | 2020년 예정 (개발 중) | - |
치클론 3호 퇴역 이후, 우크라이나는 치클론 4호와 마야크 로켓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반면 러시아는 친서방 노선을 걷는 우크라이나와의 관계 변화 속에서, 기존 소유즈 로켓과 함께 자체 개발한 앙가라 로켓에 집중하고 있다.
2. 1. 개발 배경

치클론 3호는 세계 최대 ICBM인 SS-18 사탄(R-36)을 기반으로 개발된 인공위성 발사체이다. 치클론 로켓 계열에 속하며, 치클론 2호와 거의 유사하지만 약간의 개량이 이루어졌다.
1977년 6월 24일 첫 비행을 시작하여, 총 122회의 발사를 거쳐 2009년 1월 30일에 퇴역하였다.[1] 치클론 3호의 퇴역 배경에는 러시아가 자국산 신형 발사체인 앙가라를 선호하게 된 점과, 치클론 로켓이 사용하는 유독성 초고속 추진제 문제가 있었다.[3]
2. 2. 운용 기록
치클론 3호는 세계 최대 ICBM 중 하나인 SS-18 사탄(R-36 (미사일)의 파생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인공위성 발사체이다. 기존의 치클론 2호를 약간 개량한 모델로 볼 수 있다.
1977년 6월 24일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에서 첫 발사를 시작했으며, 이후 꾸준히 운용되어 2009년 1월 30일 마지막 발사까지 총 122회의 발사 기록을 남겼다.[1] 운용 기간 동안 다양한 위성 발사 임무를 수행했으며, 대표적으로 1991년 8월에는 플레세츠크 우주 기지에서 메테오르-3 기상 위성을 성공적으로 발사하기도 했다.
치클론 3호는 우크라이나에서 주로 제작되었으나, 몇 가지 이유로 퇴역하게 되었다. 러시아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신형 앙가라 로켓을 차세대 주력 발사체로 사용하기로 결정하면서 기존 로켓의 필요성이 줄어들었고, 치클론 3호가 사용하는 초고속 추진제가 환경 및 안전 측면에서 유독성 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점도 퇴역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3] 결국 2009년 발사를 마지막으로 운용이 종료되었다.
2. 3. 퇴역
R-36 ICBM을 기반으로 개발된 치클론 3호는 1977년 6월 24일 첫 비행을 시작하여 2009년 1월 30일 마지막 발사를 끝으로 퇴역하였다.[1]치클론 3호의 퇴역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로켓 추진제로 유독성이 강한 초고속 추진제를 사용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러시아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신형 발사체인 앙가라 로켓을 더 선호하게 된 것도 주요 원인이다.[3] 치클론 3호는 우크라이나에서 제작되었는데, 우크라이나가 친서방 노선을 강화하면서 러시아와의 관계가 변화하였고, 이에 러시아는 기존에 주로 사용하던 소유즈 로켓과 함께 자체 개발한 앙가라 로켓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하였다.
3. 파생형 및 후속 모델
치클론 로켓 시리즈는 세계 최대 ICBM인 SS-18 사탄을 인공위성 발사체로 개조한 것이다. 치클론 2호를 약간 개량한 모델이 치클론 3호이다.
| 모델명 | 개발국 | 무게 | 1단 추력 | 2단 추력 | 3단 추력 | 운용 기간 | 발사 횟수 |
|---|---|---|---|---|---|---|---|
| 치클론 1호 | 소련 | 182ton | 260톤 | 100톤 | - | 1967년 ~ 1969년 | 8회 |
| 치클론 2호 | 러시아, 우크라이나 | 182ton | 260톤 | 100톤 | 8톤 | 1969년 ~ 2006년 | 106회 |
| 치클론 3호 | 러시아, 우크라이나 | 200ton | 300톤 | 100톤 | 8톤 | 1977년 ~ 2009년 | 122회 |
| 치클론 4호 | 브라질, 우크라이나 | 200ton | 300톤 | 100톤 | 8톤 | 2006년 (최초 발사 취소) | - |
| 치클론-4M | 캐나다, 우크라이나 | 274ton | 320톤 | 8톤 | - | 2020년대 (개발 중) | - |
치클론 3호의 상업적 파생 모델인 치클론 4호는 우크라이나와 브라질이 함께 개발하였으나, 2015년 브라질이 프로젝트에서 철수하면서 개발이 중단되었다.[4] 이후 치클론 4호 설계를 기반으로 한 후속 모델 치클론-4M이 상업 시장을 목표로 캐나다와 협력하여 개발 중이다.
한편,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이후 우크라이나가 친서방 노선으로 돌아서면서 러시아와의 우주 개발 협력은 사실상 중단되었다. 러시아는 주로 소유즈 로켓을 사용하며 신형 앙가라 로켓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독자적으로 마야크 로켓 등을 개발하고 있다.
3. 1. 치클론 4호
치클론 3호의 상업적 파생 모델로 개발된 로켓이다.[4] 우크라이나는 브라질과 협력하여 개발을 추진했으나, 2015년 브라질이 프로젝트에서 철수하면서 개발이 중단되었다.[4] 이로 인해 치클론 4호는 발사대에 도달하지 못했고 실제 발사도 이루어지지 않았다.[4]치클론 4호는 무게 200ton, 1단 추력 300톤, 2단 추력 100톤, 3단 추력 8톤의 제원으로 계획되었으며, 2006년 최초 발사가 예정되었으나 취소되었다.
치클론 4호의 설계를 기반으로 한 후속 모델인 치클론-4M은 상업 시장을 목표로 캐나다와 협력하여 개발이 진행 중이다.
3. 2. 치클론-4M
치클론 4호 설계를 기반으로 개발 중인 치클론 로켓 시리즈의 후속 모델이다. 무게는 274톤, 1단 추력은 320톤, 2단 추력은 8톤이며, 2020년 최초 발사를 목표로 개발되었다. 상업 위성 발사 시장을 목표로 하며, 캐나다에서 발사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2021년 기준으로 개발이 진행 중이다.3. 3. 마야크 로켓
2018년 기준으로, 우크라이나는 치클론 4호와 함께 마야크 로켓을 개발 중이다.4. 우주 쓰레기 문제
치클론 3호 로켓의 사용 완료된 부품들은 우주 쓰레기가 되어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1985년에 발사된 치클론 3호 상단 로켓의 파편은 2013년 에콰도르의 위성 NEE-01 페가소와 충돌하여 위성을 작동 불능 상태로 만들었으며, 결국 위성은 손실 처리되었다.[5][6][7] 또한, 1987년에 메테오 2-16 위성을 발사하는 데 사용된 로켓 본체는 1988년부터 2006년 사이에 여러 차례 파편화되어 100개가 넘는 추적 가능한 파편을 생성했으며, 이들 중 상당수는 여전히 궤도에 남아 우주 환경에 위협이 되고 있다.[8]
4. 1. 에콰도르 위성 NEE-01 페가소와의 충돌
2013년 5월 23일, 대략 05:38 (UTC)에 에콰도르의 위성 NEE-01 페가소는 인도양 상공에서 1985년 발사된 치클론 3호 로켓의 사용 완료된 상단 로켓 잔해에 매우 근접하여 통과했다. 위성과 상단 로켓 간의 직접적인 충돌은 없었지만, 페가소는 치클론 로켓 상단 주변의 파편 구름을 통과하면서 작은 조각 중 하나와 부딪혀 "스치듯 충돌"을 겪은 것으로 추정된다.[5][6] 이 사고 이후 위성은 "두 축에서 심하게 회전"하며 지상 기지국과 통신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5]페가소의 제어를 다시 회복하려는 시도는 실패했으며,[6] 결국 2013년 8월 28일, EXA와 에콰도르 정부는 위성 손실을 공식적으로 선언했다.[7]
4. 2. 기타 잔해 사건
1987년 8월 18일 메테오 2-16을 발사하는 데 사용된 치클론 3호 로켓 몸체는 1988년에서 2006년 사이에 다섯 번 파편화되었다. 이는 로켓 내부에 남아 있던 추진제가 원인 중 하나로 추정되며, 이 사건으로 100개 이상의 파편이 발생했고, 이 중 상당수는 여전히 궤도에 남아 있다.[8]참조
[1]
웹사이트
Russian Tsyklon-3 bows out with CORONAS launch
http://www.nasaspace[...]
NASASpaceflight.com
2009-01-30
[2]
웹사이트
SL-14
https://www.n2yo.com[...]
2022-12-22
[3]
웹사이트
ARMS-TASS: In 2007, the Space Forces ensured the reality of the deadlines for the commissioning of the promising Angara RSC
http://armstass.su/?[...]
[4]
웹사이트
Tsiklon-4 (Cyclone-4)
https://space.skyroc[...]
Gunter's Space Page
2023-03-19
[5]
뉴스
Satellite collides with Soviet-era rocket
http://www.aljazeera[...]
2013-05-24
[6]
뉴스
Ecuador tries to fix satellite after space debris crash
https://www.bbc.co.u[...]
2013-05-27
[7]
뉴스
Pegasus satellite was declared 'lost' by EXA
http://www.ecuadorti[...]
2013-09-05
[8]
웹사이트
An 82o Inclination Debris Cloud Revealed by Radar
https://www.hou.usra[...]
2022-1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